본문 바로가기
일시중지

유기농·해외 직구 생리대에서도 ‘발암 물질’

by 15661015063311 2020. 10. 2.
반응형

유기농·해외 직구 생리대에서도 발암 물질

 

국내에서 팔리는 해외 직구 여성 생리대 25종 모두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해외 직구 제품을 포함해 생리대 전체 품목 중 97가 넘는 제품에서 발암 물질이 나온 것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용호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체 조사대상 666개 가운데 97.2%인 647개 제품에서 국제보건기구와 국제암센터가 분류한 발암류 물질이 나왔다.

 

발암류물질은 생식독성과 발암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번에 나온 물질은 디클로로메탄, 헥산, 클로로포름, 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톨루엔, 테트라클로로에틸렌, 에틸벤젠, 스티렌, 자일렌 등이다.

 

전체 조사대상 666종 중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인 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이 검출된 품목은 165(25%), 유럽 화학물질관리청에서 지정한 생식독성물질인 스테렌, 클로로포름, 톨루엔, 헥산이 검출된 항목은 639(95.9%)였다.

 

해외 직구 제품 25종 모두 발암물질과 생식독성물질이 나왔다.

 

'유기농' 표시가 된 137개 제품 중에서 20개 품목에서는 벤젠이 나왔다.

 

해외 직구 '유기농' 생리대 7개 중 6(85.7%)에서 벤젠이 검출돼 국내 생산 제품보다 벤젠 검출률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 의원이 식약처가 지난해 국내에 유통 중인 생리대, 팬티라이너, 탐폰 등 여성 생리용품 126개를 대상으로 프탈레이트류, 다이옥신류 검출 조사를 확인해 보니 73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류 성분이 검출됐다.

 

생리대 78개 제품 중 3개 제품과 다회용 면 생리대 8개 제품 전체에서 다이옥신류 성분이 나왔다.

 

프탈레이트류는 환경 호르몬이라고도 불리며 동물에게 생식 발생 독성, 내분비계 교란의 위험이 있다고 알려졌 있다.

 

다이옥신은 국제암연구기구(IARC)'인체에 암을 유발한다는 과학적 근거가 충분하다'고 판단하는 1급 발암 물질이다.

 

 

반응형

댓글